PATTERN

아라베스크(Arabesque) 문양

달달 연구소장 2025. 4. 11. 23:53

문양의 종류 중 가장 장식적이고 만들기 어려운 패턴 스타일 중의 하나가 바로 아라베스크 문양일 것 같은데요, 오늘은 아라베스크 문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라베스크(Arabesque) 문양

 

아라베스크(Arabesque)

 

아라베스크는 양식화된 식물 모티브와 줄기 등을 뜻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어 아라베스코(arabesco)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라비아의' 또는 '아라비아 풍의'라는 의미입니다. 

 

아라베스크 문양은 주로 이슬람 예술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디자인 양식으로, 복잡하고 반복적인 기하학적 패턴, 식물 모티브(덩굴, 잎사귀 등), 때로는 추상적인 형태들이 얽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슬람교가 전파됨에 따라 중동 뿐만 아니라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그리고 유럽 일부 지역에까지 아라베스크 문양이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아라베스크 문양의 특징

 

1.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은 금지

 

이슬람교에서는 우상 숭배의 위험성을 이유로 사람과 동물의 형상을 조각으로 새기거나, 그림으로 그리는 등 기록으로 남기는 행위 자체가 금지되었습니다. 

사람과 동물 문양을 금지한 이슬함 미술에서는 추상적이고 장식적인 표현이 발달하였습니다.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 대신 기하학적 문양, 식물 덩굴, 글자 등을 형상화한 것이 아라베스크 문양의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2. 식물 모티브

 

초기 이슬람 미술에서는 아칸서스 잎, 야자나무, 덩굴을 모티브로 한 식물 무늬가 일반적이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단순화되고 양식화되었습니다. 

꽃무늬 이즈니크 타일 패널
꽃무늬 이즈니크 타일 패널, 1550-1600년, 루브르 박물관 소장 ( 사진 출처 : wikipedia )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모스크에 있는 덩굴 ( 사진 출처 : wikipedia )

 

끝없이 구불구불하고 반복되는 식물 무늬는 창조의 영원한 본질과 신성함을 상징한다고 여겨지기도 합니다. 아라베스크를 통해 예술가들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계의 아름다움과 완벽함을 포착하고자 합니다.

 

중동의 덩굴 식물 무늬는 실크로드를 타고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도 전해졌는데 이것은 바로 당나라풍 또는 이국풍의 덩굴무늬란 뜻의 '당초문'입니다. 사실 당초문의 기원은 중동이 아니라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덩굴무늬는 여러 지역에서 독특한 형식으로 발전하였습니다. ( 당초문은 나중에 따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3. 기하학적 반복

 

삼각형, 육각형, 별 모양 등 수학적 규칙에 따라 배열되는 패턴이 많습니다. 아라베스크의 기하학적 패턴이 이슬람의 기하학과 수학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여전히 논쟁 중에 있습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수학과 기하학은 과학인 동시에 철학, 나아가 신학인 것입니다. 다시 말해 아라베스크는 수학, 과학, 신학이 일체화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기하학 패턴에는 상징주의가 내재되어 있다는 의견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정사각형은 흙, 공기, 불, 물과 같은 자연 요소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같은 문양이 반복되는 것은 신의 무한함을 상징한다고도 합니다.

 

별 모양 장식, 스페인 그라나다 알람브라궁, 14세기 ( 사진 출처 : 매거진한경 )

 

핑크 모스크
이란 시라즈의 핑크 모스크 ( 사진 출처 : 나무위키 )

 

4. 글자(서예)

 

이슬람에서 구전으로 전해지는 가장 중요한 문서는 '쿠란'인데, 아라베스크 예술에서는 쿠란의 속담과 구절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아랍어와 문자를 예술로 승화시킨 이슬람 서체는 코란의 보급과 함께 급속도로 확산됐고, 서체는 이슬람 미술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미나레 박물관 정문
튀르키예 콘야에 있는 인제 미나레(Ince Minare) 박물관 정문. 쿠란의 한 구절로 장식되어 있다. ( 사진 출처 : 나무위키 )

 

파란색 아라베스크 배경에 흰색 서예가 있는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의 15세기 도자기 패널의 일부 ( 사진 출처 : wikipedia )

 

5. 대칭

 

아라베스크 문양은 전체적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신의 완전함과 완벽함을 상징한다고 여겨집니다.

우마이야 대사원 모자이크 일부
우마이야 대사원 모자이크 일부, 시리아 다마스쿠스 ( 사진 출처 : 매거진 한경 )

 


 

아라베스크는 수학과 기하학, 과학과 철학, 신학이 일체화된 문양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장식의 복잡함만큼 내포하고 있는 의미도 다양하고, 화려함만큼 신에 대한 경외감을 엿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상 달달 연구소장이었습니다.

 

See you


< 참고 사이트 >

  • 매거진 한경, "이슬람 문화의 정수, 아라베스크 문양 Arabesque", 최선호, 2013. 09.29.
  • 월간미술, "아라베스크"
  • 나무위키, "아라베스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당초문"
  • 중앙일보, "꽃,잎사귀 아라베스크 무늬 신의 무한함 드러냈구나", 2013.7.3.
  • 주간조선, "이슬람 문화의 정수, 아라베스크가 우리에게 알려준 것", 2020.11.5.
  • Wikipedia, "Arabesque"
  • History Repeating, " Historic Pattern Styles : The Arabesque"
  • French Design by Textile Addict, "The arabesque surface pattern since Antiquity